생활정보/금융

증여세액공제 한도에 대해서

HKEBI 2023. 10. 16. 11:28

증여세액공제 한도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증여세액공제 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액공제란 증여세를 납부할 때 증여세 과세표준에서 일정한 금액을 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 증여세액공제는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 증여재산의 종류, 증여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증여세액공제의 종류와 한도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증여세액공제 한도에 대해서

인적공제

인적공제란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에 따라 적용되는 증여세액공제입니다. 인적공제는 수증자별로 10년간 합산하여 공제할 수 있는 금액으로, 해당 증여 전 10년 이내에 공제받은 금액과 해당 증여가액에서 공제받을 금액의 합계액이 한도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공제하지 아니합니다. 인적공제의 종류와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증자 한도액
배우자 6억원
직계존비속 (성인) 5천만원
직계존비속 (미성년) 2천만원
기타친족 1천만원

예를 들어,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5천만원을 증여하고 10년이 지나서 다시 5천만원을 증여하게 되면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10년 이내에 또 5천만원을 증여하게 되면 5천만원이 초과되므로 그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인적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증여재산공제

증여재산공제란 증여재산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 적용되는 증여세액공제입니다. 증여재산공제는 인적공제와 별도로 공제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제한이 없거나 높은 한도를 가집니다. 증여재산공제의 종류와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증여재산 한도액
주택 (주거용) 9억원 (수증자별)
주택 (임대용) 6억원 (수증자별)
주식 등 (중소기업) 1억원 (수증자별)
주식 등 (중견기업) 5천만원 (수증자별)
혼인 목적의 재산 1억원 (수증자별, 혼인신고일 기준 ±2년 이내)
교육 목적의 재산 제한 없음 (수증자가 국내외 대학생 이상일 경우)
의료 목적의 재산 제한 없음 (수증자가 중증장애인이거나 중증질환을 앓고 있을 경우)
기부 목적의 재산 제한 없음 (수증자가 공익법인이나 사회복지법인일 경우)

예를 들어, 부모가 결혼한 자녀에게 주거용 주택을 증여할 경우 9억원까지 증여재산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주택 가격이 10억원이라면 1억원만 증여세 과세표준으로 계산됩니다. 또한 혼인 목적의 재산을 추가로 증여할 경우 1억원까지 또 다시 증여재산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혼인 목적의 재산이 2억원이라면 1억원만 증여세 과세표준으로 계산됩니다.

신고 및 납부세액공제

신고 및 납부세액공제란 증여세를 신고하고 납부할 때 적용되는 증여세액공제입니다. 신고 및 납부세액공제는 증여세 과세표준에서 이미 인적공제나 증여재산공제를 받은 후에도 추가로 공제할 수 있습니다. 신고 및 납부세액공제의 종류와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고 및 납부시기 공제율
기한 내 신고 및 납부 3%
분납신청 후 기한 내 납부 2%
납부유예신청 후 기한 내 납부 1%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1억원을 증여하고 10년 이내에 다른 재산을 증여하지 않았다면 인적공제로 5천만원을 공제하고 남은 5천만원이 증여세 과세표준이 됩니다. 이때, 증여세 세율은 10%이므로 세액은 5천만원의 10%인 5백만원이 됩니다. 만약 기한 내에 신고하고 납부한다면 신고 및 납부세액공제로 세액의 3%인 15만원을 추가로 공제하고 최종적으로 4백85만원을 납부하면 됩니다.

증여계약서 작성하기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증여세액공제 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증여세액공제는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 증여재산의 종류, 증여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적공제, 증여재산공제, 신고 및 납부세액공제를 소개하였습니다. 각 공제의 특징과 한도를 이해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법으로 공제를 받는게 좋습니다. 여기까지 포스팅을 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